맨위로가기

분자간 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자간 힘은 분자들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으로, 이온 결합, 수소 결합,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 반 데르 발스 힘 등으로 분류된다. 이온 결합이 가장 강하고, 수소 결합,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 런던 분산력 순으로 약해진다. 이러한 힘들은 정전기적 상호작용에 기반하며, 기체의 행동, 액체 및 고체의 응집력, 화학 반응 등 다양한 현상에 영향을 미친다. 분자간 힘은 양자역학적 이론으로 설명되며, 분자간 상호작용 연구에 다양한 방법이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하너스 디데릭 판데르발스 - 반데르발스 힘
    반데르발스 힘은 원자, 분자, 표면 간에 작용하는 인력으로, 입자들의 변동하는 극성화 상관관계에서 발생하며, 영구 다극자, 유도된 다극자, 순간 다극자 간 상호작용의 총합으로, 공유결합이나 이온결합보다 약하지만 물질의 물리적·화학적 특성, 생체 분자 상호작용, 도마뱀붙이의 벽면 부착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요하너스 디데릭 판데르발스 - 반데르발스 반지름
    반데르발스 반지름은 원자나 분자들이 반데르발스 힘으로 인해 서로 얼마나 가까이 접근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유효 반지름으로, 기체의 역학적 성질, 결정 구조 분석, 분극률 측정 등에 사용되며 반 데르 발스 방정식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분자간 힘 - 소수성
    소수성은 물을 기피하는 성질로, 생물학, 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며, 미셀 형성, 단백질 구조 형성, 초소수성 현상 등과 관련되어 자가 세척, 랩온어칩, 제약 분야 등에 응용된다.
  • 분자간 힘 - 반데르발스 힘
    반데르발스 힘은 원자, 분자, 표면 간에 작용하는 인력으로, 입자들의 변동하는 극성화 상관관계에서 발생하며, 영구 다극자, 유도된 다극자, 순간 다극자 간 상호작용의 총합으로, 공유결합이나 이온결합보다 약하지만 물질의 물리적·화학적 특성, 생체 분자 상호작용, 도마뱀붙이의 벽면 부착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화학 결합 - 원자가 전자
    원자가 전자는 원자의 최외각 전자껍질에 존재하며 화학적 성질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주족 원소는 최외각 전자껍질의 전자로 정의되지만 전이 원소는 (n-1)d 궤도의 전자도 포함하며, 주기율표 족에 따라 예측 가능하지만 예외도 존재하고, 화학 결합, 산화 상태, 전기 전도도에 영향을 미친다.
  • 화학 결합 - 파울리 배타 원리
    파울리 배타 원리는 1925년 볼프강 파울리가 제시한 양자역학 원리로, 동일한 페르미온은 동일한 양자 상태에 존재할 수 없으며, 원자의 전자 배치, 화학 결합, 천체 특성 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분자간 힘
개요
정의분자 및 인접 입자 사이의 인력 또는 반발력
설명분자 간 상호작용은 거리에 따라 달라지며, 반 데르 발스 힘, 수소 결합, 이온 결합 등 다양한 종류가 있음
중요성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침 (예: 끓는점, 녹는점, 용해도, 응집력)
역사분자간 힘에 대한 연구는 19세기부터 시작되었으며, 여러 과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모델과 이론이 제시됨
종류
반 데르 발스 힘모든 분자 사이에서 작용하는 약한 인력
런던 분산력,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 쌍극자-유도 쌍극자 상호작용을 포함
수소 결합수소 원자가 전기음성도가 큰 원자(예: 산소, 질소, 플루오르)와 결합할 때 형성되는 강한 결합
이온 결합양이온과 음이온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극성 분자 간의 인력
이온-쌍극자 상호작용이온과 극성 분자 간의 인력
런던 분산력순간적인 전자 밀도 요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분자 사이의 약한 인력
특징
거리 의존성분자 간 거리가 멀어질수록 힘이 약해짐
방향성수소 결합과 같은 일부 분자간 힘은 방향성을 가짐
에너지분자간 힘을 극복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는 물질의 상태를 결정
영향
물질 상태고체, 액체, 기체 상태의 변화에 영향
끓는점 및 녹는점분자간 힘이 강할수록 끓는점과 녹는점이 높아짐
용해도유사한 분자간 힘을 가진 물질끼리 잘 용해됨
표면 장력액체 표면의 분자간 인력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
모세관 현상액체가 좁은 관을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현상
생물학적 과정단백질 접힘, DNA 구조 유지, 효소-기질 상호작용 등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중요한 역할
추가 정보
분자간 포텐셜분자간 힘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학적 모델 (예: 레너드-존스 포텐셜)
응용재료 과학: 새로운 재료 개발 및 특성 연구에 활용
화학: 화학 반응 메커니즘 이해에 활용
생물학: 생체 분자 상호작용 연구에 활용
같이 보기
관련 문서반 데르 발스 힘
수소 결합
이온 결합
분자

2. 분자간 힘의 종류

분자간 힘은 크게 이온 결합, 수소 결합,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 반데르발스 힘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힘의 세기와 발생 원리에 따라 구분된다.

힘의 종류세기 (상대값)
이온 결합1000
수소 결합100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10
런던 분산력1
분자간 만유인력10-35 (참고)



이러한 힘들은 모두 정전기적 상호작용에 기반한다. 이온 결합, 수소 결합,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은 영구적인 양전하와 음전하의 전기 쌍극자에 의해 발생하지만, 반데르발스 힘은 전하의 유도나 양자역학적인 요동에 의해 발생한 일시적인 전기 쌍극자에 의해 발생한다.[32][4][38]

2. 1. 이온 결합

양이온과 음이온 사이의 인력은 이온쌍 또는 염다리라고 하는 비공유 또는 분자간 상호 작용이다.[32] 이는 본질적으로 정전기력 때문이지만, 수용액 매질에서는 엔트로피에 의해, 그리고 종종 흡열 반응에 의해 결합이 유도된다. 대부분의 염은 이온 사이에 특징적인 거리를 가진 결정을 형성한다. 다른 많은 비공유 결합 상호작용과는 달리, 염다리는 방향성이 없으며 고체 상태에서는 일반적으로 이온의 반 데르 발스 반지름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접촉을 보인다.[33]

무기 이온과 유기 이온 모두 중간 이온 강도 I의 물에서 음이온과 양이온의 1:1 조합에 대해 약 5~6 kJ/mol의 유사한 염다리 결합 ΔG 값을 나타내며, 이온의 성질(크기, 분극률 등)과 거의 무관하다.[7] ΔG 값은 가산적이며 전하의 거의 선형 함수이다. 예를 들어, 이중으로 하전된 인산 음이온과 단일 하전된 암모늄 양이온의 상호작용은 약 2x5 = 10 kJ/mol에 해당한다. ΔG 값은 데바이-휘켈 방정식에 따라 용액의 이온 강도 I에 따라 달라지며, 이온 강도가 0일 때 ΔG = 8 kJ/mol을 관찰한다.

분자간 힘을 세기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힘들은 모두 정전기적 상호작용에 기반한 인력이다. 이온 결합은 정수량의 전하가 관여하기 때문에 가장 강하다.

2. 2. 수소 결합

물 분자의 수소 결합


'''수소 결합'''은 쌍극자-쌍극자 결합의 극단적인 형태로, 전기 음성도가 높은 질소, 산소, 플루오린 원자에 결합된 수소 원자와 다른 분자의 전기 음성도가 높은 원자 사이의 인력을 말한다.[4] 강한 정전기적 쌍극자-쌍극자 상호 작용으로 설명되지만, 공유 결합의 특징도 일부 가지고 있다. 즉, 방향성이 있고, 반데르발스 힘 상호 작용보다 강하며, 반데르발스 반지름의 합보다 짧은 원자 간 거리를 생성하고, 일반적으로 제한된 수의 상호 작용 파트너를 포함하는데, 이는 일종의 원자가로 해석될 수 있다.[31]

분자 사이에 형성되는 수소 결합의 수는 활성 쌍의 수와 같다. 수소를 제공하는 분자를 주개 분자, 수소 결합에 참여하는 비공유 전자쌍을 포함하는 분자를 받개 분자라고 한다. 활성 쌍의 수는 주개 분자의 수소 수와 받개 분자의 비공유 전자쌍 수 중 공통적인 수와 같다.

물 분자는 산소 원자에 두 개의 비공유 전자쌍이 각각 수소와 상호 작용하여 두 개의 추가적인 수소 결합을 형성하고, 두 번째 수소 원자도 이웃 산소와 상호 작용하여 총 네 개의 활성 결합을 가진다. 분자 간 수소 결합은 (100 °C)이 다른 16족 수소화물에 비해 끓는점이 높은 이유를 설명해준다. 16족 수소화물은 수소 결합 능력이 거의 없다. 분자 내 수소 결합은 단백질핵산의 2차 구조, 3차 구조, 4차 구조에 부분적으로 기여하며, 합성 및 천연 고분자의 구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5]

힘의 세기를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힘의 종류세기 (대략적인 값)
이온 결합1000
수소 결합100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10
런던 분산력1
분자간 만유인력10⁻³⁵



이러한 힘들은 모두 정전기적 상호작용에 기반한다. 이온 결합, 수소 결합,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은 영구적인 양전하와 음전하의 전기 쌍극자에 의해 발생하지만, 반데르발스 힘은 전하의 유도나 양자역학적인 요동에 의해 발생한 일시적인 전기 쌍극자에 의해 발생한다.

수소 결합은 플루오린, 산소, 질소 등 전기음성도가 높은 원자에 수소가 공유 결합하고 있는 경우에 발생한다. 이때 극성 분자가 생성되며, 수소 원자는 1보다 작은 양전하를 띠게 되어 근처 다른 분자에 포함된 음전하를 띤 원자와 상호 작용을 일으킨다. 그 결과, 두 분자를 잇는 안정적인 결합이 생성된다. 분자가 대표적인 예이다.

수소 결합은 자연계 곳곳에서 발견된다. 물이 특이한 성질을 띠어 지구상 생명이 존속할 수 있는 것도 수소 결합 때문이다. DNA 분자 내 두 나선 구조가 서로 결합하는 것도 수소 원자와 질소 원자 사이의 수소 결합 때문이다.

2. 3.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은 영구 쌍극자를 갖는 극성 분자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적 인력이다. 빌럼 헨드릭 케솜이 1921년에 처음으로 수학적으로 기술했기 때문에 케솜 상호작용(Keesom interaction)이라고도 불린다. 이 힘은 런던 분산력보다는 강하지만, 이온 결합이나 수소 결합보다는 약하다. 염화수소(HCl) 분자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 대표적인 예시이다.[8]

:\overset{\color{Red}\delta+}\ce{H}-\overset{\color{Red}\delta-}\ce{Cl}\cdots\overset{\color{Red}\delta+}\ce{H}-\overset{\color{Red}\delta-}\ce{Cl}

이러한 상호작용은 분자를 정렬시켜 인력을 증가시키고(위치 에너지를 감소시킨다), 극성 분자의 양의 끝은 다른 분자의 음의 끝을 끌어당겨 위치에 영향을 준다. 극성 분자는 그들 사이에 순 인력을 가지고 있다. 극성 분자의 예로는 염화수소(HCl) 및 클로로포름(CHCl3)이 있다.

분자는 종종 쌍극자성 원자단을 포함하지만, 분자 전체적으로는 쌍극자 모멘트를 갖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는 분자 내의 대칭으로 인해 쌍극자가 서로 상쇄될 때 발생한다. 이는 사염화탄소와 이산화탄소와 같은 분자에서 발생한다.

힘의 세기를 강한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힘의 종류세기 (상대적)
이온 결합1000
수소 결합100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10
런던 분산력1
분자간 만유인력10-35 (참고)


2. 4. 반 데르 발스 힘

반 데르 발스 힘은 전하를 띠지 않은 원자나 분자 사이에 작용하는 힘으로, 응축상의 응집, 기체의 물리적 흡착, 거시적 물체 사이의 인력 등 다양한 현상을 일으킨다.[38]

반 데르 발스 힘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키솜 힘
  • 디바이 힘
  • 런던 분산력


이들 중 런던 분산력이 가장 보편적이며, 케솜 힘과 디바이 힘은 영구 쌍극자를 필요로 하지만 런던 분산력은 모든 물질에서 나타난다.[38]

분자간 힘의 세기는 대략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힘의 종류세기 (상대값)
이온 결합1000
수소 결합100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10
런던 분산력1
분자간 만유인력(참고)


2. 4. 1. 키솜 힘 (Keesom force)

반 데르 발스 힘의 첫 번째 기여는 회전하는 영구 쌍극자, 사중극자(모든 분자가 입방체보다 낮은 대칭을 가짐) 및 다중극자 간의 정전기적 상호 작용이다. 이것은 빌렘 헨드릭 케이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키솜 상호 작용''이라고 한다.[34] 이러한 힘은 영구 쌍극자(쌍극자 분자) 사이의 인력에서 비롯되며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38]

키솜 힘은 쌍극자의 다른 회전 방향에 대해 앙상블 평균을 취한 쌍극자 사이의 인력 상호작용으로 구성된다. 분자는 끊임없이 회전하며 제자리에 고정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이것은 좋은 가정이지만 어느 시점에서 분자는 제자리에 고정된다. 키솜 상호 작용의 에너지는 거리의 역 6승에 의존하는데, 이는 공간적으로 고정된 두 쌍극자의 상호 작용 에너지가 거리의 역 3승에 의존하는 것과 다르다. 키솜 상호 작용은 영구 쌍극자 모멘트를 갖는 분자, 즉 두 개의 극성 분자 사이에서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키솜 상호 작용은 매우 약한 반 데르 발스 상호 작용이며 전해질을 포함하는 수용액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각도 평균 상호 작용은 다음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rac{-m_1^2 m_2^2}{24\pi^2 \varepsilon_0^2 \varepsilon_r^2 k_\text{B} T r^6} = V,

여기서 ''m''은 쌍극자 모멘트, \varepsilon_0는 자유 공간의 유전율, \varepsilon_r는 주변 물질의 유전 상수, ''T''는 온도, k_\text{B}는 볼츠만 상수, ''r''은 분자 사이의 거리이다.

2. 4. 2. 디바이 힘 (Debye force)

디바이 힘(Debye force)은 영구 쌍극자를 가진 분자와 유도 쌍극자를 가진 분자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다. 이 힘은 피터 디바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8][36][37][35]

영구 쌍극자를 가진 분자가 다른 분자의 전자를 밀어내면서 유도 쌍극자가 발생한다. 영구 쌍극자를 가진 분자는 이웃한 분자에 쌍극자를 유도하여 상호 인력을 유발할 수 있다. 디바이 힘은 원자 사이에서는 발생할 수 없다. 유도 쌍극자는 극성 분자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이동하고 회전하기 때문에, 유도 쌍극자와 영구 쌍극자 사이의 힘은 케솜 상호작용만큼 온도에 의존적이지 않다. 디바이 유도 효과와 케솜 방향 효과를 극성 상호 작용이라고 한다.[38]

영구 쌍극자와 유도 쌍극자 사이의 유도 상호 작용의 한 예는 HClAr 사이의 상호 작용이다. 이 시스템에서 Ar은 HCl에 의해 전자가 끌리거나(HCl의 H 쪽으로) 반발(Cl 쪽에서)될 때 쌍극자를 경험한다.[36][37]

이러한 종류의 상호작용은 극성 분자와 비극성/대칭 분자 사이에서 예상할 수 있다. 유도-상호작용력은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보다 훨씬 약하지만 런던 분산력 보다는 강하다.[38]

2. 4. 3. 런던 분산력 (London dispersion force)

런던 분산력(London dispersion force)은 모든 원자와 분자에서 나타나는 가장 보편적인 분자간 힘이다. 이는 순간적인 쌍극자-유도 쌍극자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한다.[38] 이러한 분극은 극성 분자 또는 비극성 분자에서 음전하를 띤 전자 구름의 반발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런던 상호 작용은 전자 구름에서 전자 밀도의 무작위 변동으로 인해 발생한다.[38]

전자의 수가 많은 원자는 더 적은 수의 전자를 가진 원자보다 더 큰 런던 힘을 가진다. 분산력은 모든 물질이 분극성이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인 반면, 케솜 힘과 데바이 힘은 영구 쌍극자를 필요로 한다. 런던 상호작용은 보편적이며 원자-원자 상호작용에도 존재한다.[38]

하마커는 1937년에 거시적 물체 사이의 반 데르 발스 이론을 개발했으며 이러한 상호작용의 가산성이 물체를 훨씬 더 장거리로 만든다는 것을 보여주었다.[38]

고전적인 전자기학에서는 전하적으로 중성인 물질이 자발적으로 분극되는 현상을 설명할 수 없다. 반면, 양자역학적으로는 바닥 상태에 있어도 요동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즉, 양자역학적으로는 전자의 분포에도 요동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29] 이러한 양자역학적인 요동에 의해 전하가 유도되는 것이 프리츠 런던에 의해 이론적으로 제시되었다. 따라서 양자역학에 의한 들뜬 쌍극자를 원인으로 하는 반데르발스 힘(분자간 힘)은 런던 분산력이라고 불린다.[29]

분극화에 의한 유도 쌍극자는 극성 분자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다음은 염소의 수용액의 예를 보여준다.

(+)(-)(+) (-)(+)

(영구 쌍극자)H-O-H-----Cl-Cl(유발 쌍극자)

또는 런던 분산력으로 여기된 쌍극자가 다른 분자를 여기시키는 예는 염소 분자에서 볼 수 있다.

(+)(-) (+) (-)

(런던 분산력)Cl-Cl------Cl-Cl(유발 쌍극자)

3. 분자간 힘의 상대적 세기

분자간 힘의 세기는 일반적으로 이온 결합 > 수소 결합 >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 > 반 데르 발스 힘(런던 분산력) 순서로 약해진다.[39][40][41] 그러나 이 비교는 대략적인 것이며, 실제 상대적인 세기는 관련된 분자에 따라 달라진다.[15][16][17] 예를 들어, 물의 존재는 이온 결합과 수소 결합 모두의 세기를 크게 약화시키는 경쟁적인 상호작용을 만든다.[18] 일반적으로 이온 결합공유 결합은 주어진 물질에서 분자간 힘보다 항상 더 강하다.[19]

결합 유형해리 에너지 (kcal/mol)해리 에너지 (kJ/mol)비고
이온 격자250–40001100-20000
공유 결합30–260130–1100
수소 결합1–124–50물에서는 약 5kcal/mol (21kJ/mol)
쌍극자-쌍극자0.5–22–8
런던 분산력<1 ~ 15<4 ~ 63탄화수소 기화 엔탈피에서 추정



수소 결합은 극단적인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의 한 형태로, 높은 전기 음성도를 가진 원소(일반적으로 질소, 산소, 또는 플루오린)에 결합된 수소 원자 사이의 인력을 말한다.[4] 수소 결합은 강한 정전기적 쌍극자-쌍극자 상호 작용으로 설명되지만, 공유 결합의 특징도 일부 가지고 있다. 즉, 방향성을 가지며, 반데르발스 힘 상호 작용보다 강하고, 반데르발스 반지름의 합보다 짧은 원자간 거리를 생성하며, 제한된 수의 상호 작용 파트너를 포함한다.[5]

물 분자는 산소 원자의 두 개의 비공유 전자쌍이 각각 수소와 상호 작용하여 두 개의 추가적인 수소 결합을 형성한다. 분자간 수소 결합은 (100 °C)의 높은 끓는점을 만드는 데 기여한다. 분자내 수소 결합은 단백질핵산의 2차 구조, 3차 구조, 4차 구조에 부분적으로 기여하며, 고분자의 구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힘들은 모두 정전기적 상호작용에 기반한 인력이다. 이온 결합, 수소 결합,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은 영구적인 양전하와 음전하의 전기 쌍극자에 의해 발생하지만, 반데르발스 힘은 전하의 유도나 양자역학적인 요동에 의해 발생한 일시적인 전기 쌍극자에 의해 발생한다.

매우 대략적으로 힘의 크기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 이온 결합: 1000
  • 수소 결합: 100
  •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 10
  • 런던 분산력: 1

4. 분자간 힘과 기체의 행동

분자간 힘은 짧은 거리에서는 반발력으로, 긴 거리에서는 인력으로 작용한다(레너드-존스 퍼텐셜 참조).[20][21] 기체에서 반발력은 주로 두 분자가 같은 부피를 차지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이 때문에 실제 기체는 같은 온도와 압력에서 이상 기체보다 더 큰 부피를 차지하려는 경향이 있다. 반면 인력은 분자들을 서로 가깝게 끌어당겨 실제 기체가 이상 기체보다 더 작은 부피를 차지하려는 경향을 보이게 한다. 어떤 상호작용이 더 중요한지는 온도와 압력에 따라 달라진다(압축인자 참조).

기체에서는 분자 간 거리가 일반적으로 크기 때문에 분자간 힘의 영향은 작다. 인력은 반발력이 아니라 분자의 열에너지에 의해 극복된다. 온도는 열에너지를 측정하는 값이므로, 온도가 증가하면 인력의 영향이 감소한다. 반대로, 반발력의 영향은 온도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기체를 압축하여 밀도를 높이면 인력의 영향이 커진다. 기체의 밀도가 충분히 높아지면 인력이 분자들을 분산시키려는 열 운동의 경향을 극복할 만큼 커질 수 있다. 그러면 기체는 응축되어 고체나 액체, 즉 응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낮은 온도는 응축상의 형성을 돕는다. 응축상에서는 인력과 반발력 사이에 거의 균형이 이루어진다.

5. 분자간 힘의 양자역학적 이론

원자와 분자 사이에서 관찰되는 분자간 힘은 영구 및 순간적인 쌍극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현상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는, 수소 결합[22], 반데르발스 힘[23] 및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상호작용을 설명할 수 있는 근본적이고 통합적인 이론을 찾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는 양자역학의 개념을 분자에 적용하여 수행되며, 레일리-슈뢰딩거(Rayleigh–Schrödinger) 섭동 이론이 이러한 측면에서 특히 효과적이었다. 기존의 양자화학 방법에 적용될 때, 분자간 상호작용에 대한 이러한 양자역학적 설명은 분자간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근사 방법을 제공한다.[24] 양자화학에서 찾을 수 있는 이러한 종류의 분자간 상호작용을 시각화하는 데 가장 유용한 방법 중 하나는 시스템의 전자 밀도를 기반으로 하는 비공유 결합 상호작용 지수(NCI)이다. 런던 분산력이 이에 큰 역할을 한다.

전자 밀도 위상에 관해서는, 최근에 전자 밀도 기울기 방법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방법들이 등장했는데, 특히 IGM(Independent Gradient Model) 방법론을 기반으로 하는 IBSI(Intrinsic Bond Strength Index)[25]의 개발이 주목할 만하다.[26][27][28]

참조

[1] 논문 On the history of key empirical intermolecular potentials 2023-10-01
[2] 서적 Theory of Intermolecular Forces Pergamon Press 1969
[3] 웹사이트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 Paperback - Despo Papachristodoulou, Alison Snape, William H. Elliott, Daphne C. Elliott - Oxford University Press https://global.oup.c[...] 2024-01-04
[4] GoldBook hydrogen bond
[5] 서적 Essentials of Medical Geology Springer
[6] 서적 Ionic Interactions in Natural and Synthetic Macromolecules John Wiley & Sons, Inc. 2012
[7] 논문 Experimental Binding Energies in Supramolecular Complexes 2016-05-01
[8] 서적 Chemistry: A Molecular Approach Pearson Education Inc
[9] 웹사이트 Intermolecular Forces http://www.mikeblabe[...] 2011-11-17
[10] 논문 Theoretical models for surface forces and adhesion and their measurement using atomic force microscopy 2012-10-01
[11] 논문 The second virial coefficient for rigid spherical molecules whose mutual attraction is equivalent to that of a quadruplet placed at its center http://www.dwc.knaw.[...]
[12] 논문 A Floating Gaussian Orbital calculation on argon hydrochloride (Ar·HCl)
[13] 논문 Induced dipoles and the heat of adsorption of argon on ionic crystals
[14] 논문 Ion-induced dipole H−n clusters
[15] 서적 Organic Chemistry: Structure and Reactivity Houghton Mifflin Company 2004
[16] 웹사이트 Lattice Energies http://chemed.chem.p[...] Purdue University 2014-01-21
[17] 서적 Enthalpies of Vaporization of Organic Compounds Blackwell Scientific 1985
[18] 서적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https://www.worldcat[...] Garland Science - Taylor & Francis 2015
[19] 논문 Conformational proofreading: the impact of conformational changes on the specificity of molecular recognition 2007-05-01
[20] 논문 On the history of key empirical intermolecular potentials 2023-10-01
[21] 논문 On the History of the Lennard-Jones Potential https://onlinelibrar[...] 2024-06-01
[22] 논문 Definition of the hydrogen bond (IUPAC Recommendations 2011) 2011-07-08
[23] 서적 Electrodynamics of Continuous Media https://archive.org/[...] Pergamon 1960
[24] 논문 Theory of the Chemical Bond
[25] 논문 New Way for Probing Bond Strength https://hal.archives[...] 2020-03-01
[26] 논문 Accurately extracting the signature of intermolecular interactions present in the NCI plot of the reduced density gradient versus electron density https://hal.univ-rei[...] 2017-07-01
[27] 논문 The Independent Gradient Model: A New Approach for Probing Strong and Weak Interactions in Molecules from Wave Function Calculations https://hal.univ-rei[...] 2018-03-01
[28] 논문 Atomic Decomposition Scheme of Noncovalent Interactions Applied to Host-Guest Assemblies 2020-01-01
[29] 문서 양자역학적 전자의 흔들림이 로돈 분산력이며, 장의 흔들림에 의한 인력이 카시미르 효과이다.
[30] 서적 Theory of inter-molecular forces Pergamon Press
[31] GoldBook hydrogen bond
[32] 서적 Ionic Interactions in Natural and Synthetic Macromolecules John Wiley & Sons, Inc.
[33] 논문 Experimental Binding Energies in Supramolecular Complexes https://pubs.acs.org[...]
[34] 논문 The second virial coefficient for rigid spherical molecules whose mutual attraction is equivalent to that of a quadruplet placed at its center http://www.dwc.knaw.[...]
[35] 논문 Ion-induced dipole H−n clusters
[36] 저널 A Floating Gaussian Orbital calculation on argon hydrochloride (Ar·HCl)
[37] 저널 Induced dipoles and the heat of adsorption of argon on ionic crystals
[38] 저널 Theoretical Models for Surface Forces and Adhesion and Their Measurement Using Atomic Force Microscopy
[39] 서적 Organic Chemistry: Structure and Reactivity Houghton Mifflin College
[40] 웹인용 Lattice Energies http://chemed.chem.p[...] 2014-01-21
[41] 서적 Enthalpies of Vaporization of Organic Compounds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